신용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총 4가지로 나눠서 평가하고 있다. 신용카드 사용과 대출 내역 등을 통해 신용거래기간, 상환이력, 부채수준, 신용거래형태로 나눠 점수가 산정 된다.
신용 점수 평가 항목
상환 이력 : 대출을 성실하게 상환했는가? 부채 수준 : 잔액 대출 금액이 얼마나 있는가? 신용 거래 기간 : 신용 거래를 언제부터 이용 했는가? 신용 거래 형태 : 사용한 대출 상품이 어떤 것인가? 신용점수는 ‘올크레딧(KCB)’과 ‘NICE지키미(NICE평가정보)’ 두 회사가 신용점수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각의 점수 평가 항목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각 회사의 점수 또한 다르게 측정된다. 장기 연체가 있을 경우에도 비율이 달라져 일반 고객과 차이를 두고 확인이 필요하다.
‘올크레딧(KCB)’과 ‘NICE지키미(NICE평가정보)’ 의 차이점
올크레딧 올크레딧의 경우는 신용거래 형태의 비율이 높다. 신용카드 사용 기간과 금액, 일시불·할부의 비중, 카드론 대출의 유무 등에 영향을 NICE보다 높은 편이다. NICE NICE의 경우는 상환이력과 부채수준에 좀 더 높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. 상환이력은 대출 시 연체 없이 지속적으로 성실히 상환했는지 등을 보고, 부채 수준은 어떤 종류의 대출을 받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.
